매일매일 출석체크
매일매일 출석하고 포인트 받아가세요

20 이 지급되었습니다.

확인

NEW 환경참여 챌린지

NEW 스토니 게시글

임계점을 넘어선 기후위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세계기상기구(WMO)가 2024 아시아 기후 현황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전역이 기후 재난의 위기에 직면해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아시아 지역의 평균기온은 관측 이래 가장 높거나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하는데요, 아시아는 북극까지 뻗은 가장 큰 대륙으로, 육지의 온도 상승이 해양의 온도 상승보다 가팔라 평균보다 온난화 가속화가 빠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동아시아 지역은 4월부터 11월까지 극심한 폭염이 지속되며 월평균 기온 기록이 연이어 경신되었으며, 미얀마의 경우 48.2°C를 기록하며 전국 최고 기온을 달성했습니다. 아시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온도 또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아시아의 10년간 평균 해수면 온도 상승 0.24°C로, 지구 평균인 0.13°C에 거의 2배에 달하는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기후 변화는 강수 패턴의 극단화로 이어졌습니다. 이 때문에 강력한 열대성 저기압을 발생했고, 아시아 전역에 광범위한 피해를 주고 있지요. 중앙아시아는 기록적인 폭설과 강우로 70년 만에 최악의 홍수가 발생했으며, 인도에서는 폭우로 인한 대규모 산사태로 35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셀레스트 사울로 WMO 사무총장은 “아시아 기후 현황 보고서는 지표 온도, 빙하 질량, 해수면 등 주요 기후 지표의 변화를 강조하며, 이는 이 지역의 사회, 경제, 생태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극심한 기상 현상은 이미 용납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라고 말해, 아시아 지역의 기후 위기가 당면한 문제임을 경고했습니다. 올 여름은 역대급 홍수와 폭염이 예상됩니다. 우리의 보금자리인 지구가 기후로 우리의 생명과 웰빙을 해치지 않도록, 다방면에서 신경써야겠지요?

CCUS는 무엇?

2023년 4월 정부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이행 방안을 확정 발표했습니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7억2760만 톤에서 2030년 4억3660만 톤으로 40% 줄이겠다는 약속이었는데요. 이 가운데 이산화탄소 포집·사용·저장(CCUS) 방법으로 1120만 톤을 처리하는 내용도 포함됐어요. 산업 및 에너지 관련 부문에서 배출된 CO2를 분리 포집해서 산업 원료로 활용하는 부분을 제외하면, 나머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은 CO2를 저장 장소로 운반해 장기간 격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기술은 염분층이나 고갈된 원유 및 가스전과 같은 적합한 지하 지질구조에 저장하는 기술을 활용하게 돼요. 그런데, 실제 CCS 사업이 복잡하고 긴 절차를 거쳐 진행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좁은 국토와 많은 인구로 인해 육상이 아닌 해상에서 CCS 사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는 국내 사정을 고려한다면 지금부터 서둘러도 2030년 이전에 바다 밑에 온실가스를 저장하기가 빠듯하다고 합니다. 정부도 지난 2월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는 등 박차를 가하고는 있지만, 실제 사업 수행에 필요한 법적 장치가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온실가스를 포집해 수송하고 저장하는 해상 CCS 사업을 관장하는 통일된 기관도 없고, 전체 과정을 규제하는 포괄적인 체계도 없다는 것이죠. 호주 울런공대학 국립해양자원안보센터 정다운 강사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법정책연구소 모영동 선임연구원은 최근 ‘아시아 국제법 저널(Asi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 문제를 다뤘어요. 연구팀은 논문에서 “현행 한국의 법률 체계를 분석한 결과, 해상 CCS 사업, 특히 해저 지질 구조 내 CO2 격리 공정을 규제할 세부 규정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는 법적 공백과 불확실성을 초래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해상 CCS 사업의 개발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팀은 “해상 CCS의 경우 CO2 누출 등 해양 환경에 대한 잠재적 위험이 존재하는 만큼 안전하고 영구적인 저장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미래기술이지만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은 CCUS, 우리의 미래를 위해선 관심있게 지켜봐야겠죠?

반려식물과 함께하는 삶: 마음도 공기도 맑아져요!

‘식집사’라는 말까지 생겨날 만큼, 식물을 마치 가족처럼 키우고 교감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는데요. 단순한 인테리어를 넘어, 식물은 이제 정서적 안정과 삶의 활력을 주는 존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반려 식물이란 단순히 키우는 대상이 아니라, 감정적인 위안과 교감을 나누는 존재를 뜻하는데요. 실제로 ‘식물도 감정이 있다’는 연구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김광진 연구관에 따르면, 사람이 식물을 예뻐하거나 미워하면 식물도 이에 반응한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다고 해요. 이제는 반려동물뿐 아니라 식물도 감정을 주고받는 삶의 동반자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죠.   실제로 반려 식물을 기르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다양한 심리적·정서적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집안 분위기가 밝아졌다’는 응답이 44.0%, ‘일상 속 소소한 기쁨을 준다’는 응답이 43.8%로 가장 많았으며, ‘힐링되는 느낌이 든다’ 38.4%, ‘집안 공기가 맑아진 것 같다’ 35.9% 등 긍정적인 변화가 주를 이뤘습니다. 일부는 ‘책임감이 생겼다’는 응답도 있었어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 결과도 주목할 만합니다. 응답자의 92%가 반려 식물을 기르며 우울감 해소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고, 93%는 외로움 해소에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식물을 기르기 전과 후의 감정 변화나 에너지 수준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다는 응답도 많았습니다!   이러한 정서적 효과 외에도, 반려식물은 환경 측면에서의 실용적 효과도 커요. 반려 식물을 키우는 목적을 묻는 질문에서 ‘공기 정화를 위해서’라고 답한 비율이 58%로 가장 높았습니다. 실제로 식물 4~5개만 두어도 4시간 안에 실내 초미세먼지 농도가 약 20% 감소한다는 결과도 있어요. 미세먼지가 심한 날, 반려 식물 하나가 작은 공기청정기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셈이에요. 여러분도 이번 여름, 식물과 함께하는 작은 변화 어떠신가요?   출처: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v/psvr/psvre/curationDtl.ps?menuId=PS03352&pageIndex=1&pageUnit=6&sEraInfo=&sKidofcomdtySeCode=&sSrchAll=&sType=&srchCurationNo=1696&srchStr=&utm_source=chatgpt.com

핸드폰 사용하면 탄소가 배출된다고? (feat. 디지털 탄소 발자국)

스마트폰을 사용만 해도 탄소 배출이 된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디지털 탄소 발자국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따른 탄소 절감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해요! 디지털 탄소 발자국이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온실가스량이에요. 전체 탄소 발자국 중 디지털 탄소 발자국의 비율은 핸드폰이 보급되기 전보다 약 3배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디지털 탄소 발자국의 주요 원인은 디지털 기기를 생산하는 데에 발생하는 에너지와 데이터 작업을 처리하는 데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디지털 기기를 이용할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기기로 어떠한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동영상 시청 10분 = 1g 인터넷 검색 = 0.2g 이메일 한 통 = 4g 전화 통화 1분 = 3.6g 데이터 1MB 사용 = 11g 위와 같이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데요. 그렇다면 디지털 탄소 절감을 위한 방법은 어떤 것들이 존재할까요? 1) 전자기기 교체 주기 늘리기 2) 동영상 시청 시 해상도 낮추기 3) 절전모드 사용 4) 불필요한 이메일 정리 5) 화상 미팅 시 화면 끄기 등의 방법이 존재합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실천도 일상 속 친환경만큼 중요해진 요즘, 디지털 탄소 발자국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들을 실천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출처: https://m.blog.naver.com/inobus/223191275586

친환경 도시락 싸는 법?

요즘 절약과 함께 친환경적인 삶을 실천하기 위해 도시락을 싸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보다 친환경적인 도시락을 싸는 먗 가지 팁을 정리해 봤어요! 1. 재사용 도시락통 사용하기 빈 도시락 통을 다시 집에 들고오는 것이 귀찮아서 혹시 일회용 용기에 도시락을 싸가시나요? 사먹는 도시락의 경우에도 대부분 한 번밖에 사용할 수 없는 일회용 용기로 포장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매 번 일회용 용기를 사용한다면 밥을 한끼 먹을 때마다 환경 부하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일회용 용기의 대부분은 잘 썩지 않는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 비닐로 만들어져 있죠. 미국 뉴욕주의 경우 학교에 점심 도시락을 싸가는 아이 한명이 먹고 버리는 일회용 용기를 모으면 1년에 30kg이나 된다고 합니다. 2. 도시락통은 비닐이 아니라 주머니에! 환경과 건강을 생각하면서 도시락통을 마련한 뒤 도시락 통을 담을 때에는 비닐봉투를 사용해버린다면 의미가 없겠죠~ 도시락 통을 담을 때에도 한 번 쓰고 버리는 비닐봉투가 아니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주머니를 활용해보세요. 낡은 손수건으로 도시락을 포장할 수도 있겠죠? 3. 친환경 메뉴 도시락 통 속에 담기는 음식도 화학비료와 같은 인공적 요소를 최소화하고 땅을 황폐화 시키는 농업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농업 방식을 통해 자연에도 이롭고 사람에게도 이로운 유기농 재료를 사용하고 채소 위주의 식단을 선택해보세요. 당장의 건강을 위해서도, 앞으로 평생 보다 깨끗한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라도, 결국은 우리 자신에게도 더 이로운 선택일 것입니다. 내일 점심은 친환경 도시락 어떨까요?

고무장갑, 제대로 알고 버리자!

  최근 네티즌들 사이에서 얘기가 불타올랐던 주제가 있는데요, 바로 분리수거입니다!   고무장갑을 일반쓰레기로 분류하여 버렸는데 10만원의 과태료를 내야한다는 상황에 대한 의견들이 다양하게 나뉘고 있어요. 환경부 지침에 따르면, 고무장갑은 분리배출 대상이 아니며, 재활용이 어렵기에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한다고 하는데요, 실제로는 지자체에 따라 분리수거 방침이 다르다고 합니다!   서울 시내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의 경우에는 '재활용품 분리배출' 설명란에 고무장갑을 별도로 배출하라고 명시되어 있는 반면, 관악구, 구로구, 송파구, 동대문구에서는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한다고 합니다. 서울시의 경우 25개의 자치구의 폐기물 처리를 총괄하지만, 분리수거 단속 및 기준 설정은 지차구에서 관리한다고 하며, 이에 대해 많은 시민들은 자치구의 방침이 서울시의 방침보다 우선시 되는 것에 의아해 하는 반응이라고 해요. 이러한 상황은 서울 말고도 여러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스토니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앞으로 분리수거를 할 때에는 거주하고 있는 자치구의 지침을 확인하고 버리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출처: 고무장갑 버리면 과태료 10만원? 분리수거 배출법이 지역마다 다른 이유 < issue live < ISSUE < 기사본문 - 여성조선 

그린 히어로즈 리그

환경을 위한
탄소저감
활동으로 모은

그린 코인을
제출해보세요
전체 히어로 역사 명예의 전당
전체 기부 역사
2021년
총 92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992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2년
총 49,016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50,783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3년
총 46,582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59,688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4년
총 66,018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49,929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5년
총 3,619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39,235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5년 명예의 전당
순위닉네임기부코인
M
Y
0
이연우18회1,500
엘렌언니1,295
hap1,146
4e2062084800
5살별500
6중학생그린리더배준한196
7무도리100
8e202239520
9워터스톤10

회사명 : 동아에스티 / 대표 : 정재훈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64(용두동)
사업자 등록번호 : 204-86-40122 | 전화 : 02-920-8827 | 메일 : esg@donga.co.kr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대우

Copyright © DONGA S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