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출석체크
매일매일 출석하고 포인트 받아가세요

20 이 지급되었습니다.

확인

NEW 환경참여 챌린지

NEW 스토니 게시글

오토바이를 전기오토바이로?

스토니님, 환경부가 내연기관 오토바이(이륜차)를 전기 오토바이로 개조(튜닝)할 경우,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미 지게차나 1톤 화물차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해오고 있었는데요, 이번에는 오토바이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 친환경 전동화 튜닝을 더욱 촉진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실제로 환경부는 지난 16일, ‘이륜차 전동화 튜닝 타당성 검토’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2021년 자동차관리법이 개정되면서 전기차와 전기 오토바이의 튜닝이 합법화되었습니다. 전동화 튜닝은 조기 폐차나 배출가스 저감 장치 부착만큼 환경 개선 효과가 크지만, 그만큼 비용 부담도 큰 편이라고 합니다. 이에 환경부는 내연기관 오토바이 3대를 실제로 전기 이륜차로 개조해보고, 비용과 경제성, 그리고 인증 기준 및 제도 개선 방향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요즘 배달용 오토바이 등 영업용 이륜차가 늘어나고 있는데, 만약 신차 구매보다 튜닝이 더 저렴하다면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해요. 현재 정부는 전기 오토바이 신차 구매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보급 효과는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연구 결과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2026년부터 보조금 지급이 가능해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참고로, 지게차의 경우는 이미 전동화 튜닝에 대한 보조금이 지급되고 있는데요. 2025년 기준으로 최대 3,749만 원(리튬 이온 배터리 기준)까지 지원되며, 지난해에는 7대가 전동화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올해는 지게차 450대, 1톤 화물차 108대에 대한 지원이 예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다만 일반 승용차의 경우, 개조 비용이 워낙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적용은 어렵다는 분석도 함께 제시되고 있습니다. 스토니님께서도 이런 움직임을 참고하시면서, 앞으로의 친환경 교통수단 확대 흐름에 관심을 가져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기차나 하이브리드차, 친환경이 아니라고?

스토니, 전기차나 하이브리드차는 보통 친환경적인 차량으로 알려져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최근 서울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이들 차량이 내연기관차보다 더 많은 비배기성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서울 시내에서는 타이어나 브레이크 마모로 인해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친환경차 비율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데요. 예를 들어, 휘발유 차량의 절반이 전기차로 전환될 경우, 연간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이 64.6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경유차 절반을 하이브리드차로 바꾸더라도 초미세먼지는 48.8톤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네요. 이러한 현상의 주된 원인은 바로 차량의 무게입니다. 전기차나 수소차는 배터리 때문에 무게가 많이 나가고, 그로 인해 타이어 마모량이 늘어나면서 미세먼지 배출도 증가하는 것이죠. 또한, 폐배터리 문제도 함께 제기되고 있습니다. 2030년이 되면 서울시에서만 전기차 배터리 약 13,371개, 하이브리드차 배터리 약 17,704개가 폐기될 것으로 보이며, 이 배터리들은 중금속과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별도의 안전한 처리 과정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서울연구원은 앞으로 차량의 종류나 타이어 특성에 따라 마모 데이터를 정밀하게 관리하고, 저마모 타이어 보급을 위한 인센티브 제도 도입 등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폐배터리에 대해서도 재활용 기술 개발과 회수 체계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어요. 스토니님께서도 이러한 내용을 참고하시어, 진정한 친환경 이동수단이 무엇인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멀티탭 이야기

멀티탭 앞에 서면, 가끔은 제 생활의 단면이 고스란히 보입니다. 각기 다른 굵기의 전선들이 어지럽게 얽혀 있고, 그 위로는 작은 빨간 불빛이 환하게 켜져 있습니다. 그 안에서 켜지고, 돌고, 충전되고, 연결되는 것들은 마치 지금의 우리 삶처럼 쉼 없이 움직입니다. 멀티탭은 분명 편리한 발명입니다. 한정된 콘센트로 여러 전자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해주고,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죠. 하지만 편리함이 늘 좋은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멀티탭에 끊임없이 꽂혀 있는 충전기, 쓰지 않지만 연결만 되어 있는 선, 그 모든 것들이 결국 불필요한 전기를 소모하며 ‘눈에 보이지 않는 낭비’를 만들어냅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삶은 종종 아주 작은 선택에서 시작됩니다. 멀티탭의 전원을 끄는 일, 안 쓰는 플러그를 뽑는 일, 소비 습관을 돌아보는 일— 그 모두가 거창하지는 않지만, 분명 의미 있는 실천입니다. 요즘 저는 하루의 끝마다 멀티탭을 한 번 돌아봅니다. ‘오늘 내가 사용한 것, 그리고 사용하지 않은 것’ 그것들을 분리하고, 꺼내고, 잠시 멈추는 그 행동 속에서 저는 제 생활의 속도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됩니다. 우리가 멀티탭에 꽂는 건 어쩌면 전자기기만이 아니라, 지친 몸, 복잡한 마음, 그리고 무심코 지나친 에너지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기에 때로는 멀티탭을 끄는 것이 세상을 위한 아주 조용한 선언처럼 느껴집니다.

그래도 잘했다 콜드플레이!!

▲16일 고양종합운동장 주경기장에서 열린 밴드 콜드플레이의 월드투어 ‘뮤직 오브 더 스피어스’ 공연장 내부에 설치된 ‘워터 스테이션’   영국 4인조 록밴드 콜드플레이가 지난 16일부터 열린 내한공연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병 반입을 금지했다.  공연으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취지다. 공연을 주최한 라이브네이션코리아는 지난 15일 SNS에 “공연장 내 일회용 플라스틱 반입이 금지된다”며 “금속·유리 재질 외의 재사용 가능한 물병은 반입이 허용되니 공연장 주위에 배치된 ‘워터 스테이션’을 이용해 달라”고 공지했다. 공연장에는 실리콘과 플라스틱 다회용 물병만 반입이 가능했다. 주최 측은 공연장 곳곳에 대용량 생수통을 설치하는 한편 멸균종이팩에 든 물을 판매하기도 했다.사전에 제대로 고지되지 않아 일부 혼란이 있었지만, 대부분 관객들은 콜드플레이 측 의도에 공감했다고 했다. 게스트 공연과 본 공연 사이에는 친환경 메시지를 담은 영상이 전광판에 반복 상영됐다. 영상에는 미리 배부한 LED 손목밴드를 공연 후 반납해 달라는 안내와 티켓 수익 일부가 산림 복원, 해양 정화, 종 보전 등에 사용된다는 메시지가 담겼다. 콜드플레이는 관객석에 ‘키네틱 플로어’와 ‘파워 바이크’를 설치해 관객의 운동 에너지를 전력으로 바꾸는 시도도 했다.   출처:콜드플레이 콘서트 “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병 반입 금지” 왜?] ------------------------------------------------------------------------------- 아직 새로운 시도들을 완벽하게 적용시키는데는 분명 어려움이 있겠지만 이러한 시도들이 모여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살짝 아쉬웠지만 꾸준히 공연계의 환경보호를 실천하려 노력하는 콜드플레이한테 박수를 쳐주고 싶군여!

2025년도 기부 현황

환경을 위한
탄소저감
활동으로 모은

그린 코인으로
기부를 해보세요.
전체 기부 역사 명예의 전당
전체 기부 역사
2021년
총 92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992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2년
총 49,016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50,783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3년
총 46,582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59,688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4년
총 66,018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49,929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5년
총 3,619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21,946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5년 명예의 전당
순위닉네임기부코인
M
Y
0
정연승19회16,028
광화문토박이15,827
눈사람9913,910
4워터스톤12,961
5옐옐12,823
6지수12,025
7이가영11,746
8이연우18회10,985
9서현18,919
10김민규18회8,505

회사명 : 동아에스티 / 대표 : 정재훈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64(용두동)
사업자 등록번호 : 204-86-40122 | 전화 : 02-920-8827 | 메일 : esg@donga.co.kr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명원

Copyright © DONGA S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