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출석체크
매일매일 출석하고 포인트 받아가세요

20 이 지급되었습니다.

확인

NEW 스토니 게시글

친환경 농업, 유기질 비료

스토니 여러분 ! 전라남도는 올해 201억원을 투자해 친환경농업에 필수적인 유기질비료 43만6000톤을 지원합니다. 이 지원은 농축산 부산물의 자원화를 촉진하고, 유기물을 공급하여 토양 환경을 보전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친환경농업을 추진하는 목적입니다. 유기질비료는 동물의 배설물이나 미생물 등을 자원화하여 만든 친환경 비료로, 토양 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데 필수적인 농자재입니다. 올해 지원되는 유기질비료는 혼합유박, 혼합유기질, 유기복합 등 3종과 가축분퇴비, 퇴비 등 부숙유기질비료 2종으로 구성됩니다. 전라남도는 총 43만6000톤을 지원하며, 이 중 7만6000톤은 유기질비료(38억원), 36만톤은 **부숙 유기질비료(163억원)**로 지원됩니다. 비료의 등급에 따라 포대(20kg) 당 보조금이 1300원에서 1600원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이 지원은 지역농협을 통해 농업인에게 제공되며, 농업인들은 신청한 유기질비료를 영농 일정에 맞춰 수령하고 토양에 공급해야 합니다. 9월까지 수령하지 않은 농업인은 지원을 포기한 것으로 간주되며, 이후 10월에는 추가 지원 대상자를 선정하여 남은 물량을 배정할 예정입니다. 김영석 전라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유기질비료를 적극 활용하면 환경 보호, 고품질 농산물 생산, 토양 비옥도 증진 등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지속적인 유기질비료 공급을 통해 친환경농업 기반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농가 소득을 확보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이 지원을 통해 전라남도는 친환경농업을 강화하고, 지역 농업인들에게 더 나은 소득 기반을 제공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사과 한 알, 자연의 작은 우주

사과 한 알을 손에 들고 있으면 자연이 선물한 작은 우주를 마주하는 기분이 듭니다. 붉고 단단한 껍질 속에는 햇빛과 바람, 비와 흙이 길러낸 생명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그러나 이 작은 과일이 우리 손에 닿기까지의 과정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사과는 사계절을 살아갑니다. 겨울에는 나무가 모든 기운을 뿌리로 모으고, 봄이 오면 연한 초록 잎이 돋아나며 꽃이 피어납니다. 여름에는 햇볕을 가득 머금고 서서히 자라나 가을이 되면 탐스럽게 익어갑니다. 이 모든 과정에서 사과나무는 자연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지만, 우리의 생산 방식은 점점 자연의 균형을 흐트러뜨리고 있습니다. 대량 생산을 위한 과수원에서는 자연스러운 생태 순환이 깨지고, 단일 품종의 과일을 안정적으로 수확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 비료가 사용됩니다. 이로 인해 토양이 황폐해지고, 주변 생태계가 위협받습니다. 벌과 나비 같은 수분 매개 곤충들이 감소하고, 토양 미생물의 다양성이 줄어들면서 땅이 점점 생명을 잃어갑니다. 우리가 익숙하게 먹는 사과 한 알의 뒤에는 이렇게 보이지 않는 환경적 대가가 숨겨져 있습니다. 또한, 사과는 유통 과정에서도 많은 자원을 소모합니다. 시장에 깔끔한 모양과 일정한 크기의 사과만 진열되기 위해 크기와 모양이 맞지 않는 것들은 폐기되기도 합니다. 해외에서 수입되는 사과는 비행기와 선박을 이용한 장거리 운송을 거치며 탄소 발자국을 남깁니다. 이렇게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부담은 우리가 당연하게 먹는 과일이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님을 깨닫게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보다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사과를 소비할 수 있습니다. 지역에서 생산된 제철 과일을 구매하고, 농약 사용을 최소화한 유기농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작은 변화이지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모양이 예쁘지 않더라도 영양과 맛에는 차이가 없으므로 못생긴 과일을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것도 낭비를 줄이는 방법이 됩니다. 사과 한 알을 손에 들고 있을 때, 우리는 자연이 우리에게 준 선물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것이 단순한 과일이 아니라 수많은 생명과 연결된 존재임을 기억한다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쌓아간 작은 선택들이 모여, 더 건강한 환경을 만들어갈 것입니다.

친환경 수산물 생산 기반 강화!

전라남도가 지역 어업인과 수산업의 동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총 599억원을 들여 친환경에너지 장비 및 시설 지원, 친환경수산업 육성, 어장환경 개선 향상, 수산업 경쟁력 강화 등 4개 분야 16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친환경에너지 장비 및 시설 지원 분야 사업비는 176억원으로 양식어가의 경영비 절감을 위한 핵심 사업인 친환경에너지 보급사업은 히트펌프 등을 양식장에 설치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양식 중 발생하는 탄소 저감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고·저수온 피해 예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친환경수산업 육성 분야는 소비자가 신뢰할 안전한 수산물 공급을 위해 76억원을 투입하며 친환경수산물 인증과 함께 전남의 우수 수산물을 국제적으로 알리도록 양식 수산물의 국제인증(ASC) 비용을 지원하고, 친환경수산물 생산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수산공익직불금도 지급합니다. 전라남도가 지역 어업인과 수산업의 동반 성장을 위해 599억원을 투자하여 친환경에너지 장비 및 시설 지원, 친환경수산업 육성, 어장환경 개선, 수산업 경쟁력 강화 등 4개 분야에서 16개 사업을 추진합니다. 이러한 지속 가능한 수산업 발전은 우리 모두의 건강과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선택이라고 생각하며 긍정적인 변화가 있기를 기대합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71767?sid=102

한국의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성과 제로?

국제사회가 파리협정 제6조를 기반으로 온실가스 감축 협력을 본격화하는 가운데, 한국의 국제감축사업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습니다.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국제감축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지만, 아직까지 실질적인 성과는 전무한 상황입니다. 이제는 제도 정비, 예산 확대, 협력 구조 개선 등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목표는 크지만, 실행이 따라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2030년까지 국제감축을 통해 3,750만 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는 전체 감축량 중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중요한 목표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13개국과 협정을 맺고 8개국과 MOU를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승인된 사업은 하나도 없습니다. 이처럼 사업이 지연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복잡한 행정 절차: 협정 체결 후에도 공동위원회 개최 등 여러 행정 절차가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 협력국의 제도적 한계: 일부 개도국은 감축사업을 실행할 법적·제도적 기반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감축 실적 배분 문제: 감축 실적을 어떻게 나눌 것인지에 대한 국가 간 이견이 크다 보니 협상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예산도 충분하지 않습니다 국제감축사업을 제대로 추진하려면 탄탄한 예산이 뒷받침되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 2023년 217억 원에서 2024년 734억 원으로 늘어난 예산이 2025년에는 590억 원으로 다시 줄어들 예정입니다. • 전문가들은 2030년까지 최소 2조 원 이상이 필요하다고 전망하지만, 현재 예산으로는 목표의 10%도 달성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제는 실행력이 필요합니다 전문가들은 국제감축사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 G2G(정부 간) 대형 프로젝트 확대: 국가 간 협력을 통해 보다 규모 있는 감축사업을 추진해야 합니다. • 사업 방식 다변화: 사후 구매 방식뿐만 아니라 선도 계약 방식 등을 도입해 유연성을 높여야 합니다. • 민간 참여 활성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유연성과 시장 매력도를 개선해야 합니다. • 통합 컨트롤타워 구축: 현재 분산된 사업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관리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미 싱가포르와 스위스는 국제감축 실적을 확보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은 아직 준비 단계에 머물러 있어, 더 이상 논의만 하고 있을 시간이 없습니다. 이제는 계획이 아니라 실행할 차례입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현실로 만들기 위해 적극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더 늦기 전에, 제대로 움직여야 할 때입니다! 출처 : http://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91945

차세대 중적외선 광검출기 개발?!

스토니 여러분! 국내 연구진이 상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중적외선 광검출기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중적외선은 외계 행성의 대기 속 분자를 분석하는 데 활용되는 빛으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역시 이 영역을 활용해 수증기, 이산화황 등 외계 행성의 구성 성분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이처럼 분자마다 고유의 지문 같은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중적외선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선 약한 빛까지 감지할 수 있는 고감도 광검출기 기술이 필요한데요? 그러나 기존 중적외선 광검출기는 상온에서 발생하는 열 때문에 잡음(노이즈)이 발생해, 냉각 시스템이 필수적이었으며 이는 장비의 크기와 비용을 증가시키고, 센서의 소형화와 휴대용 기기 응용을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이에 연구진은 기존 공정과 완벽히 호환되면서도, 냉각 없이 작동할 수 있는 새로운 중적외선 센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핵심은 볼로미터 효과로 이는 빛이 센서에 닿으면 열로 바뀌고, 이 온도 변화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덕분에 특정 파장뿐만 아니라 중적외선 전체 영역을 감지할 수 있어, 다양한 분자를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데 유용합니다~ 개발된 광검출기는 저비용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추후 환경 모니터링이나 유해가스 분석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의 발전이 앞으로 어떤 놀라운 발견으로 이어질지 기대가 됩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64234?sid=105

2025년도 기부 현황

환경을 위한
탄소저감
활동으로 모은

그린 코인으로
기부를 해보세요.
전체 기부 역사 명예의 전당
전체 기부 역사
2021년
총 92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992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2년
총 49,016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50,783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3년
총 46,582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59,688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4년
총 66,018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49,929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5년
총 3,619 북극곰 살리기(내기부코인:0 )
총 13,846 나무심기(내기부코인:0 )
2025년 명예의 전당
순위닉네임기부코인
M
Y
0
정연승19회16,028
광화문토박이15,827
워터스톤12,861
4옐옐12,823
5지수12,025
6이가영11,746
7이연우18회10,985
8서현18,919
9김민규18회8,505
10장소현7,785

회사명 : 동아에스티 / 대표 : 정재훈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64(용두동)
사업자 등록번호 : 204-86-40122 | 전화 : 02-920-8827 | 메일 : esg@donga.co.kr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명원

Copyright © DONGA S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