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은 어쩌면 가장 시원할 지 몰라..
페이지 정보

진솔
작성일 25-07-13 21:29 조회 16 댓글 1
본문
올해 여름은 ‘역대급’이었습니다. 문자 그대로 기록적인 불볕더위가 이어졌죠. 기상청 ‘2024년 여름철(6~8월) 기후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 기간 전국 평균기온은 25.6℃로 평년(23.7℃)보다 1.9℃ 높았습니다.
폭염 일수(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 수)는 평년(10.6일)보다 2.3배 많은 24.0일로 역대 3위입니드. 전국 주요 기상 관측지점 66곳 중 총 10곳에서 올 여름철 폭염 일수 역대 1위를 경신했습니다. 서울의 경우 27일을 기록해 역대 세 번째로 폭염이 잦았어요.
미래학자이자 경제·사회 사상가인 제러미 리프킨 미국 경제동향연구재단 이사장은 50년 연구 끝에 최근 집필을 끝낸 책 ‘플래닛 아쿠아’를 통해 이런 변화의 중심에 ‘물’이 있다고 역설했습니다. 인류가 가둬두고 지배하려 시도했던 ‘물’이 기후변화에 따라 다시 야생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견해죠. 숱한 과학자들이 경고하고 있는 ‘지구 생명체의 여섯 번째 멸종’이 초기 단계에 접어든 이유 역시 리프킨은 물을 지목했습니다.
내년은 올해보다 더, 오래 더울텐데요. 우리는 이 온난화의 속도를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서 뭘 할 수 있을까요?
폭염 일수(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 수)는 평년(10.6일)보다 2.3배 많은 24.0일로 역대 3위입니드. 전국 주요 기상 관측지점 66곳 중 총 10곳에서 올 여름철 폭염 일수 역대 1위를 경신했습니다. 서울의 경우 27일을 기록해 역대 세 번째로 폭염이 잦았어요.
미래학자이자 경제·사회 사상가인 제러미 리프킨 미국 경제동향연구재단 이사장은 50년 연구 끝에 최근 집필을 끝낸 책 ‘플래닛 아쿠아’를 통해 이런 변화의 중심에 ‘물’이 있다고 역설했습니다. 인류가 가둬두고 지배하려 시도했던 ‘물’이 기후변화에 따라 다시 야생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견해죠. 숱한 과학자들이 경고하고 있는 ‘지구 생명체의 여섯 번째 멸종’이 초기 단계에 접어든 이유 역시 리프킨은 물을 지목했습니다.
내년은 올해보다 더, 오래 더울텐데요. 우리는 이 온난화의 속도를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서 뭘 할 수 있을까요?
추천2
댓글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