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출석체크
매일매일 출석하고 포인트 받아가세요

20 이 지급되었습니다.

확인

환경실천

보호구역이 꼭 답은 아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Jiii

작성일 25-02-04 15:22 조회 18 댓글 5
4명이 좋아합니다.

본문

콜롬비아 칼리에서 열린 제16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6) 에서 흥미로운 지적이 나왔다. 특정 종을 보호하는 방식만으로는 생물다양성 손실을 막기 어렵다는 것.

영국 국립자연사박물관(NHM) 의 연구에 따르면,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서 오히려 생물다양성이 더 빨리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보호구역 바깥에서는 평균 1.9% 감소 했지만, 보호구역 안에서는 2.1% 감소 했다. 단순히 더 많은 지역을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것만으로는 ‘30×30 목표’ (2030년까지 육지와 물의 30% 보전) 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이 연구는 NHM이 개발한 생물다양성 온전성 지수(BII) 를 활용해 분석됐다. 결과적으로 2000년 61.26%였던 전 세계 생물다양성 보전율이 2020년에는 59.37%로 감소 했다. 연구진은 “많은 보호구역이 특정 종 보호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전체 생태계를 보전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더 넓은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고 강조했다.

런던 자연사박물관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권위 있는 자연사 연구기관 중 하나로, 8000만 점 이상의 표본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앞으로의 생물다양성 보호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출처: http://www.iemnews.com/contents/news/env_news.html?writemode=view&code=comprehensive&seq=2158&page=1
사진: AFP연합뉴스
추천4

댓글목록

profile_image

웨이님의 댓글

웨이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더 좋은 전략이 얼른 나왔으면 좋겠네요!

profile_image

살별님의 댓글

살별

음.....역시 자연은 자연이 알아서 하는 법일까요... 인간의 개입이 꼭 좋은 건 아니군요

profile_image

서늘님의 댓글

서늘

잘 읽었습니다!

profile_image

알레프님의 댓글

알레프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대책이 나오면 좋겠네요!

profile_image

밍몽님의 댓글

밍몽

보호구역.. 과연 해결해야할 문제가 될 것같네요..


회사명 : 동아에스티 / 대표 : 정재훈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64(용두동)
사업자 등록번호 : 204-86-40122 | 전화 : 02-920-8827 | 메일 : esg@donga.co.kr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명원

Copyright © DONGA ST. All rights reserved.
신고하기
신고사유를 선택해 주세요.

회원님의 소중한 의견은 워터스톤을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만드는데 도움이 됩니다.

신고하기
동일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게시

회원님의 소중한 의견은 워터스톤을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만드는데 도움이 됩니다.

신고사유

(0/500)

신고하기
신고하기

신고 내용이 정상적으로 접수 되었습니다.
회원님의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