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고버섯으로 맛과 환경을 모두 잡다!
페이지 정보
파릇파릇
작성일 24-10-22 23:42 조회 2,213 댓글 4
따뜻함의 시작
환경 챌린지 1회 참여 인증 시 주어지는 뱃지
출석 왕
주 3회 이상 출석 시 주어지는 뱃지 (1달 기준)
기부천사(금)
누적 그린코인으로 기부를 20번이상 달성했을 시
초보작가
게시글 10회 작성 시 주어지는 뱃지
5명이 좋아합니다.
본문
여러분! 오늘은 표고버섯 농가에서 환경 보호를 위해 어떤 놀라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해요. 최근 충남대 이규복 교수님 팀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표고버섯 폐기물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하는데요, 정말 흥미롭지 않나요?
사실 '배지'라는 것은 버섯 재배에서 흙과 비슷한 역할을 해요. 버섯을 고정시키고 영양분을 공급하는데요, 그동안 이 배지는 사용 후 매립되거나 소각되는 경우가 많았어요. 일부는 퇴비나 사료로도 쓰였지만, 대부분이 그냥 버려졌죠. 그런데 이제 이 폐배지가 놀라운 방식으로 재활용되고 있답니다.
이 교수님 팀은 폐배지를 바이오차(biochar)로 변환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실험을 성공시켰는데요! 바이오차는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열분해해 탄소가 남는 물질인데, 겉모습은 숯처럼 생겼어요. 이 바이오차가 이산화탄소를 흡착하는데 아주 효과적이라는 걸 발견한 거죠 ㅎㅎ
특히 650도에서 열분해한 폐배지 바이오차가 가장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했는데요, 1g당 약 6.84mg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고 해요! 이뿐만 아니라 미국과 브라질에서도 농업 부산물을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기술이 이미 도입중인데요.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옥수수 줄기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브라질에서는 사탕수수 찌꺼기로 바이오에너지를 만들고 그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BECCS 기술이 사용되고 있답니다.
이 연구는 한국 농업에서도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는 큰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정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것 같아요!
앞으로도 이런 친환경 기술들이 더 많이 개발되고 널리 사용되기를 기대해봅니다 :)
출처: https://www.news1.kr/society/environment/5574783
댓글목록




이 지급되었습니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