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연구팀 "갈조류, 지구온난화 시대 CO₂ 흡수 격리하는 '원더 식물
페이지 정보
꿈의당근
작성일 22-12-31 21:32 조회 2,371 댓글 0따뜻함의 시작
환경 챌린지 1회 참여 인증 시 주어지는 뱃지
출석 왕
주 3회 이상 출석 시 주어지는 뱃지 (1달 기준)
기부천사(은)
누적 그린코인으로 기부를 10번이상 달성했을 시
기부천사(금)
누적 그린코인으로 기부를 20번이상 달성했을 시
11명이 좋아합니다.
본문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갈조류가 매년 약 5억5천만t의 CO₂를 대기 중에서 흡수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독일이 한 해에 배출하는 전체 온실가스(약 7억4천만t)에 근접한 양이다.
연구팀은 갈조류가 CO₂ 흡수에서 숲보다 더 뛰어나 지구온난화 대처에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갈조류는 대기 중의 CO₂를 흡수해 성장에 이용하는데, 흡수한 양의 3분의 1 가량은 당질 배설물로 바닷물에 다시 배출한다.
이 당질 배설물은 구조에 따라 다른 생물이 이용하거나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연구팀은 핀란드 남부 항코 인근의 해안생태계에서 2m까지 자라는 갈조류인 ‘블래더랙'(bladderwrack. 학명 Fucus vesiculosus)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배설물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후코이단'(fucoidan)에 주목했다.
끈적끈적한 점질 구조의 다당류인 후코이단은 까다로운 분자로,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져 다른 생물이 이용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논문 제1저자인 하겐 부크-비제 연구원은 이와 관련, “어떤 생물도 이를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 결과, 후코이단에 포함된 탄소는 대기로 신속하게 환원되지 않아 수백년, 길게는 수천년에 걸쳐 CO₂를 장기적으로 격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후코이단이 질소 등과 같은 영양분은 포함하지 않고 있어 갈조류의 성장이 탄소 손실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미역이나 다시마 등 다른 갈조류를 대상으로도 해역을 달리하며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면서 “지구온난화에 대처할 수 있는 갈조류의 강력한 잠재력은 추가적인 연구와 이용이 분명히 필요하다”고 했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갈조류가 매년 약 5억5천만t의 CO₂를 대기 중에서 흡수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독일이 한 해에 배출하는 전체 온실가스(약 7억4천만t)에 근접한 양이다.
연구팀은 갈조류가 CO₂ 흡수에서 숲보다 더 뛰어나 지구온난화 대처에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갈조류는 대기 중의 CO₂를 흡수해 성장에 이용하는데, 흡수한 양의 3분의 1 가량은 당질 배설물로 바닷물에 다시 배출한다.
이 당질 배설물은 구조에 따라 다른 생물이 이용하거나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연구팀은 핀란드 남부 항코 인근의 해안생태계에서 2m까지 자라는 갈조류인 ‘블래더랙'(bladderwrack. 학명 Fucus vesiculosus)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배설물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후코이단'(fucoidan)에 주목했다.
끈적끈적한 점질 구조의 다당류인 후코이단은 까다로운 분자로,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져 다른 생물이 이용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논문 제1저자인 하겐 부크-비제 연구원은 이와 관련, “어떤 생물도 이를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 결과, 후코이단에 포함된 탄소는 대기로 신속하게 환원되지 않아 수백년, 길게는 수천년에 걸쳐 CO₂를 장기적으로 격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후코이단이 질소 등과 같은 영양분은 포함하지 않고 있어 갈조류의 성장이 탄소 손실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미역이나 다시마 등 다른 갈조류를 대상으로도 해역을 달리하며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면서 “지구온난화에 대처할 수 있는 갈조류의 강력한 잠재력은 추가적인 연구와 이용이 분명히 필요하다”고 했다.
추천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