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출석체크
매일매일 출석하고 포인트 받아가세요

20 이 지급되었습니다.

확인

환경정보

꿀벌 연쇄 실종사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워터스톤
댓글 4건 조회 760회 작성일 22-05-19 10:26

본문

[2022년 봄, 대한민국 꿀벌이 사라졌다]

 

GettyImages-482692713.jpg

 

2022년 봄. 우리나라에서 꿀벌을 길러왔던 농민들은 난생 처음 겪는 일을 경험하게 된다. 그것은바로 꿀벌 연쇄 실종사건! 2022년 4월 초를 기준으로 전국에서 사라진 꿀벌들의 수는 무려 최소 78억마리… 지난 겨울부터 올해 봄까지 사체의 흔적도 없이 광범위한 지역의 꿀벌이 사라졌다.

 

원래대로라면 벌통이 꿀벌로 가득 차 있어야 하지만, 현재 수많은 벌통들은 텅텅 비어있다고 한다. 꿀벌의 사체라도 발견하면 집단 폐사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체마저 보이질 않는다. 어느 날 갑자기 사라져서 돌아오지 않는, 그야말로 꿀벌 실종의 상태! 도대체 어떻게 된 것일까?

 

 

[원인을 알 수 없는 군집 붕괴 현상]

 

 

GettyImages-535024155.jpg

 

미국에서는 이미 2006년에 데이브 하켄버그라는 사람에 의해 가장 처음 꿀벌 실종 현상이 보고 됐다. 이 후 꿀벌이 사라지는 현상을 ‘군집 붕괴 현상(CCD: Colony Collapse Disorder)’이라고 불렀다. 꿀벌 실종 사건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GettyImages-1218281867.jpg

 

군집 붕괴 현상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다양한 조사와 연구가 시도되었지만 안타깝게도 현재까지 명확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이와 관련된 각종 음모론 마저 양산되고 있을 정도. 기생 진드기, 휴대 기기로 인한 전자파, 정체 불명의 바이러스 등장 등 음모론의 종류도 다양하다.

 

어째든 결론은 군집 붕괴 현상에 대한 정확한 원인과 뾰족한 해답은 아직까지 찾지 못하고 있다.

 

 

[꿀벌 실종은 생태계 붕괴를 경고한다]

 

 

GettyImages-a10772421.jpg

 

꿀벌과 관련된 경고를 검색해보면 아인슈타인의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꿀벌이 사라지면 4년 안에 인간은 멸종한다.”

 

많은 매체를 통해 인용되는 이 발언은 사실상 아인슈타인의 입에서 나온 발언이라는 정확한 근거는 없다. 유명한 사람의 입을 거쳐 나온 말이라고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영향력을 기대하며 1994년 프랑스 양봉업자들에 의해 날조된 발언이지만, 내용 자체로만 보았을 때 전혀 근거 없는 이야기는 아니라고 한다. 그만큼 지구에서 꿀벌이 사라지면 인간 역시 어마어마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것.

 

GettyImages-a12236966.jpg

 

UN에 따르면 주요 농작물 100여종 중 70%가 꿀벌에 의해 수분(수술의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옮겨 붙는 것)이 이루어진다고 보고됐다. 농업기술이 크게 발전한 현대사회이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농작물이 꿀벌에 의존해서 수분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꿀벌이 사라지면 수분 작업이 제대로 될 수가 없다. 수분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농작물들은 과실을 맺기 힘들어진다.

 

2022년, 꿀벌이 사라진 우리나라의 딸기 농장은 생산량이 60% 줄었고 열매가 제대로 맺히지 못해 기형 딸기가 생산되기도 했다. 식물의 번식을 도와주는 조력자인 꿀벌이 사라지자 즉각적으로 농산물의 생산량 저하가 나타난 것이다.

 

GettyImages-1146965531.jpg

 

꽃이 피고 과실이 열린다는 것은 인간의 식량이 되는 것뿐만 아니라 지구상 또 다른 생물들의 먹이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긴다면? 인간 식량 문제뿐만 아니라 지구 전체의 먹이사슬 체계가 흔들리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경고가 현실이 된 지금, 대책 마련이 시급한 때]

 

 

GettyImages-663716782.jpg

 

현재 우리나라 지자체에서는 꿀벌 실종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농가를 위해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이는 단편적인 방법일 뿐 장기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 꿀벌이 사라진 원인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기후변화, 병충해 피해, 벌 무리 관리 기술의 부족, 드론으로 해로운 약품 사용 등을 원인으로 꼽고 있지만 앞에서 말한 것처럼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것이 매우 큰 문제다.

 

GettyImages-175578713.jpg

 

인지학과 발도르프교육의 창사자인 루돌프 슈타이너 박사는 1923년 11월 진행한 강연에서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양봉업의 기계화는 80~100년 후 꿀벌 생태계의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고. 1세기 전 이렇게 경고한 학자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결국 경고가 현실화가 되고 나서야 심각성을 깨닫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꿀벌 실종은 단순한 문제가 아닌 생태계 붕괴마저 경고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다. 그러므로 지구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보다 심층적인 원인분석과 연구, 대책 마련이 시급한 때이다.

 

추천1

댓글목록

profile_image

대학생그린리더정채인님의 댓글

대학생그린리더정채인

꿀벌이 생태계에서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네요. 이유를 명확히 밝힐 수 없다는 점이 더욱 무섭네요..!

profile_image

HILL님의 댓글

HILL

꿀벌이 사라지고 심각하다는 걸 많은 사람들이 알고 같이 해결책을 찾아가야 될 것 같네요.

profile_image

중학생그린리더이채율님의 댓글

중학생그린리더이채율

양봉하시는 분들이 꿀벌이 사라졌다고 말씀하시는 뉴스를 본 적 있어요. 이런 현상은 처음 접한 것 같아요.  공존하는 꿀벌과 함께 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어요.

profile_image

중학생그린리더정하윤님의 댓글

중학생그린리더정하윤

옛날에는 꿀벌의 중요성에 대해 몰랐는데 요즘 정말 뼈저리게 느끼고 있어요...ㅜㅜ 역시 없어져봐야 아는 것 같ㅇ아요 ㅠㅠㅠㅠ 하루빨리 꿀벌들이 돌아왔으면 좋겠습니다


회사명 : 동아에스티 / 대표 : 김민영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64(용두동)
사업자 등록번호 : 204-86-40122 | 전화 : 02-920-8827 | 메일 : esg@donga.co.kr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소순종

Copyright © DONGA ST. All rights reserved.
신고하기
신고사유를 선택해 주세요.

회원님의 소중한 의견은 워터스톤을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만드는데 도움이 됩니다.

신고하기
동일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게시

회원님의 소중한 의견은 워터스톤을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만드는데 도움이 됩니다.

신고사유

(0/500)

신고하기
신고하기

신고 내용이 정상적으로 접수 되었습니다.
회원님의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확인